민족민주열사희생자추모(기념)단체연대회의

활동소식 130

2022.09.30. 김순호파면 녹화공작진상규명 촛불문화제

지난 9월 30일(금), 두개의 촛불 집회 중에 저녁 7시 청계광장에서 진행한 "김순호 파면 녹화공작 진상규명 촛불문화제"가 있었습니다. 이날 촛불문화제에는 김순호 파면과 녹화공작 진상규명 서명도 함께 진행했습니다. 김순호 밀정 의혹을 보도한 PD수첩 영상 등으로 사전 행사를 대신하고, 박석운 김순호파면국민행동 공동대표의 발언으로 촛불문화제를 시작했습니다. 피해자 발언으로 이성우 인노회 사건 피해자, 이용성 강제징집 피해자의 발언이 있었으며, 군의문사 유가족으로 최종순 의문사대책위 대표의 발언 등이 있었습니다. 최종순 대표는 동생 최우혁이 학생운동 중에 부모의 권유에 의해 군대에 갔다가 의문의 죽임을 당한 사연을 소개하며, 가슴에 쌓이 한을 토로했습니다. 이날 촛불문화제 문화공연으로 진보대학생넷 학생들이..

활동소식 2022.10.05

2022.09.29. 민주유공자법 제정 촉구 기자회견

지난 9월 29일(목) 오전 11시, 국민의힘 당사 앞에서, 오전 11시 30분,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또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민주유공자법 제정 촉구 기자회견은 기자도 없는 기자회견입니다. 찾아오는 분도 점점 줄고, 그동안 했던 얘기 또 하고, 다시 또하는 무한 반복 기자회견입니다. 문득 일전에 성신여대 학생이 했던 발언이 생각납니다. "임진왜란 때 의병이 많이 일어났는데, 정유재란 때는 의병이 거의 없었다. 이는 임진왜란 때 일어섰던 의병을 제대로 챙기지 못하고 버렸기 때문에 다음에 국가에 난이 일어났을 때 아무도 나서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몇년 전 박근혜 탄핵 당시, 군을 움직이려한 정황과 문건이 나왔다고 하더군요. 군사반란은 언제라도 있을 수 있는 일이고, 군사정권이나 독재정권이 들어서고 국..

활동소식 2022.10.05

2022.09.28. 진실화해위원회 의문사 사건 조사 간담회

지난 9월 28일(목) 오후 2시, 진실화해위원회에서 의문사 사건 조사 관련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이날 간담회 시작은 군의문사 조사 진행 과정 보고와 의문사 조사 진행 과정 보고로 시작했습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추모사업회 대표와 유족은 진화위 2년 동안 진척사항이 없어 보이는 상항에서 경과 보고도 형식적인듯하여 여전히 '잘 조사할테니, 믿고 맡겨달라'는 표현밖에 안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군의문사 사건의 경우는 조사관이 바뀌면서 새로 시작되는 상황이라 우려의 목소리가 많았으며, 의문사 사건의 경우는 깊이 있는 보고가 없이 겉도는 이야기로만 보고가 진행되서 아쉬움이 많았습니다. 진화위에서 얼마나 많은 자료를 수배하고 조사했는지, 해당 사건별로 가해자, 증인 등을 얼마나 많이 찾아서 진술 조사를 받았는지 ..

활동소식 2022.10.05

2022.09.28. 민주유공자법 제정 촉구 9차 천막문화제

지난 9월 28일(수) 저녁 6시 30분, 민주유공자법 제정 촉구 9차 천막문화제가 열렸습니다. 매월 마지막 수요일에 진행되는 천막문화제는 농성에 함께 하는 이들이 무대를 구성해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간간히 문화활동가를 초대합니다. 이날 공연 중 첫번째 공연은 강민호, 박태순열사 후배인 한신대 철학과 학생의 노래로 시작했습니다. 이어서 권희정열사의 후배인 성신여대 학생의 편지 낭독이 있었습니다. 글을 쓰면서 열사의 마음과 부모님의 마음을 생각하면 쓴 듯합니다. 농성장에 오면 늘 청소를 도맡아 하는 최연택 작가의 영향으로 농성장을 찾은 이수경 작가의 인터뷰와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작인 '자연사박물관'을 소개했습니다. 그리고 최근 민주유공자법 천막농성장을 소재로 글을 쓰고 있다고 합니다. 이날 천막문화제 ..

활동소식 2022.10.05

2022.09.23. 김순호 경찰국장 밀정의혹 진실규명 1차 보고회

지난 9월 23일(금)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김순호 경찰국장 밀정의혹 진실규명 1차 보고회'가 열렸습니다. 행정안전위원회 및 국방위원 국회위원 공동주최로 열린 이번 토론회에는 설훈 의원, 이해식 의원, 용혜인 의원이 참석해서 주최 인사를 시작으로 열렸습니다. 토론회 중간에는 이성만 의원이 참석해서 끝까지 토론회 발표를 함께했습니다. 이날 토론회 발제에는 한흥구 성공회대 교수가 '강제징집 녹화공작, 역용공작의 시대적 배경과 진행'이라는 주제로 발표했으며, 녹화공작의 가해자로 전두환, 박준병, 최경조, 조창현, 서의남 등을 거론했으며 이들의 조작사건과 공작사건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또한 보안사령부 녹화-선도사업 담강 심사장교 명단을 공개했습니다. 그리고 발제에서 '인노회 사건은 단순한 ..

활동소식 2022.09.30

2022.09.22. 민주유공자법 제정 촉구 기자회견

가을 햇볕이 뜨거운 오늘 9월 22일(목) 11시, 오래 서 있으면 피부가 금방 익어버릴 듯한 시간에 40번째 국민의힘 당사 앞에 섰습니다. 그리고 37번째 민주당 당사 앞에도 섰습니다. 민주유공자법 제정 촉구 기자회견을 시작한 지 10개월차입니다. 중간에 어린이날과 명절 때문에 빠지기는 했지만 늘 찾아가서 한소연도 하고, 화도 내고, 소리도 지르고, 달래도 보았지만 그렇게 찾아간 자리에는 당에서 나오는 이는 없었습니다. 그래도 외치고 또 외칩니다. 국민의힘은 이 법에 대해 가타부타 하지 말고 가만히 있어달라고 합니다. 많이 양보했습니다. 민주유공자법에 나서달라고 하고, 당 대표 나와달라고 했는데, 이제 한 발 물러나서 가만히만 있어달라고 했습니다. 민주당은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고 달래고 있습니다..

활동소식 2022.09.30

2022.09.20. 4차 진화위 규탄 집회

지난 9월 20일(화) 오후 1시,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앞에서 진화위 규탄 4차 집회를 가졌습니다. 이번 4차 집회에서는 이진래열사, 한희철열사 군의문사 사건을 중심으로 진화위에서 의문사 사건 조사를 등한시 하고 있는데 대한 비판과 조사 촉구를 요구했습니다. 또한 지난 2차 집회에서 신청한 김순호 밀정의혹 사건을 철저하게 조사해서 의문사 사건과 강제징집, 녹화선도공작 등과의 연계성을 찾아내기를 요구했습니다. 하나의 사건만 놓고 본다면 해결하기 사건 자료가 한정될 수 있지만 여러개의 사건이 씨줄과 날줄처럼 엮어져 있기에 이를 다양한 방식과 넓은 영역에 있는 자료들을 찾아보고 관련자를 찾아서 대면 조사를 진행해야 함에도 지금까지의 진화위 활동을 보면 사건에 직접 관련 있는 서류 조사에만 의존하거나 ..

활동소식 2022.09.30

2022.09.15. 민주유공자법 제정 촉구 기자회견

지난 9월 15일(목), 국민의힘 당사 앞,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민주유공자법 제정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졌습니다. 매주 목요일 11시~12시 사이에 큰 두개의 정당 앞에서 목요집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제 경찰도 알아서 자리를 만들어주고, 우리가 이동하면 무전기로 이동한다 알려주고 있습니다. 경찰도 알아듣는 귀는 있는 것 같습니다. 문제는 국민의힘만 귀가 없는 듯, 없는 척하는 듯 합니다. 175명의 국회의원이 찬성한 법안이니 국민의힘에서 쓸데없는 소리만 하지 말고 가만히 있으면 됩니다. 국민의힘은 민주유공자법 제정에 발목 잡는 이상한 소리 그만하고 가만히 있으라~ 민주당은 175명이 서명한 만큼 강하게 밀어붙여야합니다. 괜히 국민의힘 의견을 물어서 합의하겠다거나 하지 말고, 국힘 빼고는 모두가..

활동소식 2022.09.30

2022.09.08. 민주유공자법 제정 촉구 기자회견

뜨거운 가을 햇살에 살이 익을 것 같은 날씨의 오늘 9월 8일(목)도 지난 주 목요일보다 더 뜨거운 기운을 안고 국민의힘 당사와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가졌습니다. 기자 없는 기자회견은 집회라고 하는데, 아무튼 기자회견 형식의 집회를 가졌습니다. 집회를 하면서 조인식 유가협 부회장의 목소리가 전사의 목소리처럼 들립니다. 가정주부에서 노둥운동가로 살아온 오랜 기간의 경험이 목소리에 담겨있는 듯 합니다. 그래서인지 오늘 사회자의 소개 멘트도 조인식 전사로 소개가 되었습니다. 사실 유가협에 계신 유가족 모두가 수십년을 싸워왔기 때문에 전사가 아닌 분이 없긴합니다. 국힘은 이런 전사들을 무서워하고 두려움에 떨어야 합니다. 만만하게 대충 밟고 가려다가 크게 다치지요. 내일부터 12일까지 4일간의 추석..

활동소식 2022.09.30